서울 근교 가을 나들이 코스
서울 근처 지하철을 타고 떠날수 있는 가까운 여행 코스입니다. 가을을 맞이하여 가족과 여행을 떠나보세요!
추천 여행 코스
서울 가을에 떠나기 서울 근교 가을 여행 코스입니다.
1. 구리 동구릉
구리에 있는 동구릉은 조선을 세운 태조의 무덤을 시작으로, 조선 시대 동안 왕과 왕비의 무덤이 모인 왕릉군입니다. '동구릉'은 도성의 동쪽에 위치한 9개의 무덤을 의미합니다. 철종 6년(1855)에 수릉이 옮겨진 이후 현재의 명칭으로 되었고 태조의 사후, 하륜에 의해 이곳이 무덤지로 정해졌으며, 동구릉은 풍수지리상 명당으로 평가되기도 합니다.
동구릉에는 태조의 건원릉을 비롯해, 문종과 현덕왕후의 현릉, 선조와 인목왕후의 목릉, 인조와 장렬왕후의 휘릉, 현종과 명성왕후의 숭릉, 경종과 단의왕후의 혜릉, 영조와 정순왕후의 원릉, 문조와 신정왕후의 수릉, 헌종과 효정왕후의 경릉 등 9개의 왕릉이 있습니다.
각 무덤에는 제사를 지내는 재실이 있었으나, 현재는 9개의 무덤을 하나의 경계로 두고 구릉 남쪽에 재실이 위치해 있습니다.
동구릉은 중앙의 건원릉을 중심으로 동쪽에 3개, 서쪽에 5개의 무덤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지역은 조선 왕릉 중 가장 많은 무덤을 포함하는 곳으로, 시대별로 왕릉의 변화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역사적 장소입니다.
위치: 경기도 구리시 동구릉로 197
운영 시간: 화~일요일, 계절에 따라 06:00~18:30 (월요일 휴무)
이동: 8호선 동구릉역 하차 후 도보 10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구리 동구릉은 조선왕릉 9기가 위치한 아름다운 장소로, 가을에 단풍과 함께 산책하기 좋습니다.
2. 서울 암사동 유적지
서울 암사동 유적은 서울 강동구 암사2동에 위치한 신석기 시대의 주거 유적지로, 대한민국 사적 제267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유적지는 78,793m 규모의 선사공원 내에 복원된 움집과 움집터를 포함한 제1박물관, 멀티미디어와 체험학습을 위한 제2박물관 등을 갖추고 있습니다.
암사동 유적지는 약 6000년 전의 마을 유적으로, 발굴된 지층은 3개의 문화층으로 나누어집니다. 상층에서는 백제의 옹관과 건물지가 발견되었고, 중간층에서는 민무늬토기, 반달돌칼, 빗살무늬토기 등과 함께 100여 개의 수혈 거주지가 발굴되었습니다.
1988년부터 공개되었으며, 현재는 선사공원 안에 2개의 전시관과 10동의 움집, 매점, 관리사무소 등 다양한 시설이 운영중입니다. 유적에서 출토된 암사동 유물 72점을 포함해 총 408개의 소장품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위치: 서울특별시 강동구 올림픽로 875
운영 시간: 화~일요일 09:30~18:00 (매주 월요일 휴무)
이동: 암사역사공원역 하차 후 도보 10분
암사동 유적은 신석기 시대 유적지로, 움집과 빗살무늬 토기 등 고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흥미로운 전시가 있습니다.
3. 올림픽공원
올림픽공원의 '9경'은 도심 속 쉼터에서 가장 아름다운 명소들을 뜻하는 곳으로, 한국사진작가협회에서 추천한 사진촬영 명소입니다. 이곳은 가족이나 연인과 함께 멋진 추억을 만들 수 있는 투어 명소로 알려져 있습니다. '9경'에는 다음과 같은 아름다운 장소들이 포함됩니다
세계평화의문 , 엄지손가락, 몽촌해자 음악분수, 대화, 몽촌토성 산책로, 나홀로 나무, 88호수, 팔각정(오륜정), 들꽃마루, 장미광장
위치: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24
운영 시간: 매일 05:00~22:00
이동: 몽촌토성역 1번 출구
올림픽공원은 도심 속 오아시스로, 피크닉과 산책을 즐기기에 좋습니다. 가을 단풍과 함께 여유로운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4. 남한산성
남한산성은 서울 동남쪽 25km에 위치한 조선시대의 산성으로, 원래 통일신라 문무왕 때 쌓인 주장성(672)의 터를 바탕으로 조선 인조 4년(1626)에 대대적으로 확장되었습니다. 성의 지형은 해발 480m 이상의 험준한 산세로 방어에 유리하며, 성곽 둘레는 12km에 달하고 넓은 분지에 자리잡고 있어 왕실과 백성이 대피할 수 있는 곳이었습니다.
남한산성은 16세기부터 18세기까지 지속된 전쟁을 통해 한국, 일본, 중국 간의 군사적 교류와 축성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유산입니다. 이 시기 동안 유럽에서 영향을 받은 화포의 도입과 함께 성곽 축성 기술도 발전하여, 남한산성은 동아시아의 무기 체계와 축성술 교류의 역사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치: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운영 시간: 11월~3월 10:00~17:00, 4월~10월 10:00~18:00 (월요일 휴무)
이동: 산성역 2번 출구에서 9번 버스 이용 (약 30분)
남한산성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다양한 탐방로를 따라 역사와 자연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매력적인 여행지입니다.
서울 근교의 다양한 역사와 자연을 만끽하며 가을을 만끽할 수 있는 지하철 여행 코스를 떠나보세요!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숙 - 눈이내리네 (14) | 2024.11.27 |
---|---|
서울 강동구 무료 물놀이장( 상일동,암사동 ) 위치와 개장 일시 소개 (0) | 2024.10.27 |